1.대보공 김알지 (김씨의 시조)
탈해왕 9년 3월에 왕이 밤중에 금성 서쪽 시림 숲속에서 닭이 우는 소리를 듣고, 날이 밝자 호공을
보내어 이를 살펴보도록한다. 호공이 시림에 다다라 보니, 금빛의 작은 궤짝이 나뭇가지에 달려있고
흰 닭이 그 아래서 물로 있었다. 이 사실을 듣고 왕은 궤짝을 가져오게 하여 열어보니 조그마한 사내
아이가 그 속에 들어 있었는데, 용모가 기이하게 뛰어났다. 왕은 기뻐하며 하늘이 그에게 아들을 내려
보낸 것이라 하여 거두어 길렀으니, 그 아이는 자라감에 따라 총명하고 지략이 뛰어나서 그 이름을
알지라 하였다.
또, 금빛 궤짝에서 나옴을 연유로 하여 성을 김씨라 부르고, 처음 발견되었던 장소인 시림을 고쳐
계림이라 이름하고. 이로써 국호를 삼았다.

한편, 《삼국유사》에는 이와는 상당히 다른 내용이 많이 담겨있다.

즉, 왕이 직접 닭 우는 소리를 들은 것이 아니라 영평 3년 경신 8월 4일에 호공이 밤에 월성 서리를
지나다가 큰 빛이 시림속에 비침을 보았다. 붉은 구름이 하늘로부터 땅으로 뻗쳤는데, 구름 한가운데
황금궤짝이 나무 끝에 걸려 있었고, 빛은 그 궤로부터 흘러나오고 있었다.
또한, 흰 닭이 그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왕에게 이를 아뢰매 왕은 그 숲으로 가서 궤를 열어보니
남자아이 하나가 누워 있다가 곧 일어났다. 이는 마치 박혁거세의 옛일과 같으므로 그 말에 인하여
알지라 이름지으니, 알지는 곧 우리말의 어린애를 뜻한다. 이 아이를 안고 대궐로 돌아오니 뭇새와
짐승들이 서로 따르고 기뻐하여 모두 뛰어놀았다. 왕은 알지를 태자로 책봉하였으나 뒤에 파사에게
사양하여 왕위에 오르지 않았다. 금궤에서 나왔다 하여 성을 김씨라 하였다.

시조신화는 일반적으로 신화 주인공의 출생근원이 어디인가에 따라 두 갈래로 나눌 수 있다. 이는
인간생명의 강화로서 천생관과 인간생명의 용출로서의 지생관에 의거한다. 천생관에 의한 천강시조
신화는 다시 동명왕·단군신화와 같이 신성혼에 의하여 의신화되는 것과, 혁거세·수로신화와 같이
알의 형상으로 강천한다는 난생설화와 김알지 신화처럼 처음부터 인간의 모습으로 강천하는 두 부류로
나뉜다.
2.문열공 김시흥 (김녕김씨의 관조)
고려(高麗)에서 명성을 날린 명문 김녕 김씨(金寧 金氏)는 조선조(朝鮮朝)에 와서도 많은 인재를
배출시켜 가문을 빛나게 하였는데 그 중에서도 백촌(白村) 문기(文起)가 대표적이다.

그는 1399년(정종 1년) 충북 옥천군 이원면 백지리에서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된 관(觀)의 아들로
태어난 어릴때부터 성품이 강직(剛直)하고 효행(孝行)이 뛰어났으며 1426년(세종 8년) 식년문과
(式年文科)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을 시작으로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고 태종실록
(太宗實錄)을 편찬했다.

1455년(세조 1년) 공조판서(工曹判書)르 거쳐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이르러 내외종(內外從)간인
박팽년(朴彭年)과 친밀하여 단종(端宗) 복위에 가담, 고문에 굴복하지 않다가 영월 현감(寧越縣監)
으로 있던 맏아들 현석(玄錫)과 함께 순절했다.

1731년(영조 7년) 10세손 정구(鼎九)의 송원(訟寃)으로 복관되었고 영월장릉충신단(寧越莊陵忠臣壇)
을 비롯한 지례(知禮)의 염계서원 등에 배향되었다.
3.충의공 김문기 (김녕김씨 충의공파의 시조)
1453년(단종 1)에 다시 내직으로 들어와 형조참판에 제수되었다가 다시 외직인 함길도도절제사로
나갔다.
1455년 세조가 즉위하자 차사원(差使員)과 힘을 합쳐 온성의 읍성을 축조하는 공사를 마치라는 유시에
따라 이를 수행하는 공을 세웠다.
그해 또다시 내직으로 들어와 공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1456년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 등이
주동이 되어 단종복위를 계획하다가 일이 사전에 발각되어 모두 주살당할 때, 그도 이 사건에 관련
되어 군기감 앞에서 처형되었다.

그뒤 여기에 가담한 사람들 중에 6인의 절의(節義)를 들어 ‘사육신’이라 하였는데, 이 사육신의
사실은 남효온(南孝溫)이 쓴 《추강집 秋江集》의 육신전(六臣傳)에 실리어 세상에 널리 알려진 뒤,
1691년(숙종 17)에는 국가에서 공인하여 육신을 복관시키고, 뒤따라 1731년(영조 7)에는 김문기도
복관되었으며, 1757년에는 충의(忠毅)란 시호가 내려졌다.

그뒤 1791년(정조 15)단종을 위해 충성을 바친 여러 신하들에게 《어정배식록 御定配食錄》을 편정
(編定)할 때 그는 삼중신(三重臣:閔伸·趙克寬·金文起)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고, 성삼문·박팽년·
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유응부(兪應孚)·하위지(河緯地) 등 6인은 《추강집》의 육신전대로
‘사육신’에 선정되었다.

이 《어정배식록》은 정조가 내각과 홍문관에 명령하여 《세조실록》을 비롯한 국내의 공사문적을
널리 고증하게 하여 신중히 결정한 국가적인 의전(儀典)이다.
이때 김문기에게는 앞서 1453년 계유옥사 때 사절(死節)한 이조판서 민신과 병조판서 조극관과 같은
판서급의 중신이 되는 이유로 삼중신이란 칭호가 내려진 것이다. 그의 사실을 기록한 《백촌유사
白村遺事》 3책이 전하며, 경상북도 금릉군 지례의 섬계서원(剡溪書院)에 향사되었다.

그런데 1977년 7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사육신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논의한
끝에 “김문기를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현창(顯彰)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결의를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다. 이 결의에 따라 노량진에 있는 사육신묘역에 그의 가묘가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2011/10/17 13:53 2011/10/17 13:53

Trackback Address :: https://youngsam.net/trackback/1594